본문 바로가기
꿀팁 아이디어

👶 2025년 부모급여 & 출산가정 혜택 완전정복

by 더라이프365 2025. 6. 12.
반응형

 

육아비 걱정 줄여주는 제도 총정리!

출산하면 끝이 아니라 시작이죠.
정부에서 출산 후 부모를 위한 다양한 현금성 지원을 해주고 있습니다.
2025년 기준 최신 정보로 정리해드릴게요.


✅ 1. 부모급여 (매달 통장으로 현금 입금!)

부모급여

대상 0~1세 영아를 양육 중인 부모
금액 만 0세: 월 100만 원 / 만 1세: 월 50만 원
신청 복지로 또는 주민센터
지급 방법 계좌 입금 또는 바우처(보육료 대납) 선택 가능

💡 어린이집 안 보내고 집에서 키우면 현금 100% 수령 가능


 

 

✅ 2. 첫만남 이용권 (출산 시 200만 원)

 

첫만남 이용권

대상 2022년 1월 1일 이후 출생아
금액 1인당 200만 원 (국민행복카드 지급)
신청 복지로 또는 주민센터
사용처 분유, 기저귀, 병원비 등 육아 관련 항목에 한정

💡 출생 등록 후 1개월 내 신청 필수


 

 

✅ 3. 영아수당 (만 0세 대상, 부모급여로 통합)

 

영아수당

기존 영아수당 월 30~50만 원
현재 부모급여로 통합됨
주의 혼동 금지! 부모급여가 기존 영아수당 + 보육료 역할 수행

💡 2025년부터는 “부모급여”만 기억하면 됩니다!


 

✅ 4. 산후조리비 (지자체별로 지급)

산후조리비 지원

대상 출산 직후 산모
금액 최대 50만 원 내외 (지역별 다름)
신청 시청·군청 또는 복지포털
조건 건강보험료 기준 / 출산 전후 일정 기간 내 신청 필요

💡 서울시, 경기도 등 대부분 지역에서 지원


 

✅ 5. 아동수당 (만 8세 미만 매달 10만 원)

아동수당

대상 만 8세 미만 아동
금액 월 10만 원
신청 복지로 / 주민센터
조건 소득 상관없이 전 국민 지급

💡 출생 등록 시 자동 신청 가능한 지자체도 있음


 

📌 육아비 총정리 예시

예: 만 0세 자녀 1명 기준 받을 수 있는 돈

  • 부모급여: 월 100만 원
  • 첫만남 이용권: 200만 원 (1회)
  • 아동수당: 월 10만 원
  • 산후조리비: 약 30~50만 원 (지자체별)

👉 6개월만 키워도 1,000만 원 이상 받을 수 있음!


 

🏷️ 티스토리용 태그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