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꿀팁 아이디어

《치매·중풍·거동불편 어르신을 위한 요양복지 제도 총정리》

by 더라이프365 2025. 6. 20.
반응형

 

🧠 시니어 복지 시리즈 5탄

고령화 시대에 접어들면서 치매, 중풍, 거동불편으로 일상생활이 어려운 어르신들이 많아졌습니다.
이런 상황에 꼭 필요한 국가 요양복지 제도를 정리해드립니다.


✅ 1. 장기요양보험 (국가 운영 요양서비스 핵심)

 

노인장기요양보험(老人長期療養保險 / Long-term Care Insurance)은 대한민국에서 '노인장기요양보험법'에 근거하여

2008년 7월 1일부터 시행한 제도이다.

 

노인장기요양보험

대상 만 65세 이상 or 노인성 질환자 (치매, 중풍 등)
혜택 방문요양, 주야간보호센터, 요양병원, 복지용구 지원
비용 본인 부담 15~20% / 기초수급자는 전액 무료
신청 국민건강보험공단 (☎1577-1000)

💡 거동 어려운 어르신의 집중 지원 제도 1순위


✅ 2. 치매국가책임제

치매 국가 책임제는??

 고령사회에서 치매 환자와 가족의 부담을 덜기 위해 국가가 치매 관리와 돌봄을 책임지는 정책입니다. 치매 의료비 지원 확대, 치매안심센터 설치 및 운영, 장기 요양 서비스 확충 등이 주요 내용입니다. 

 

치매국가책임제

 

대상 치매 초기~중증 진단자
혜택 진단비, 약값, 장기요양 연계, 인지재활 서비스
기관 전국 치매안심센터 (보건소 병설)
비용 연 최대 360만 원 이상 국가 지원

💡 치매 가족의 경제·정서 부담을 크게 줄이는 제도


✅ 3. 방문간호 서비스

방문 간호 서비스는??

 장기요양 등급을 받은 어르신들의 가정에 간호사, 간호조무사 등이 방문하여 간호, 진료 보조, 요양 상담 등 의료 및 요양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도입니다. 의사, 한의사, 또는 치과의사의 방문간호지시서에 따라 제공되며, 어르신들의 건강 관리 및 일상생활 지원을 돕습니다. 

방문간호서비스

대상 장기요양 등급자 or 건강보험 중증질환 등록자
혜택 간호사 또는 간호조무사가 주 1~2회 방문 진료
서비스 상처관리, 투약관리, 혈압·혈당체크, 교육 등
신청 장기요양기관 or 건강보험공단

💡 병원 가기 어려운 어르신의 집에서 받는 의료 케어


✅ 4. 복지용구 지원 (침대·휠체어 등)

복지용구지원

대상 장기요양등급자
금액 연간 최대 160만 원 한도 내 지원
품목 전동침대, 욕창방지매트리스, 지팡이, 휠체어 등
신청 요양기관 or 건강보험공단

💡 실제 생활에서 가장 필요한 장비를 현금 대신 지원


✅ 5. 노인요양시설 입소 지원

노인요양시설 입소 지원은??

크게 장기요양 등급 판정과 요양시설 선택 및 입소 절차로 나눌 수 있습니다. 먼저 장기요양 등급을 받아야 하며, 1~2등급은 시설급여 대상자로 요양원 입소가 가능합니다. 3~5등급은 재가급여 대상자로, 방문요양 등 다른 형태의 돌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. 입소 절차는 시설 선택 후 해당 요양원에 입소 신청을 하고, 필요한 서류를 제출하여 진행됩니다. 

노인요양시설 입소 지원

대상 장기요양 등급 인정 어르신
혜택 전국 요양원 입소 가능 / 기초수급자는 전액 무료
신청 복지로, 국민건강보험공단, 주민센터
조건 등급 1~3등급자 우선

💡 가족이 직접 케어하기 어려울 때 국가가 돌봐주는 시스템


📌 TIP: 요양 등급 받는 법

  1. 건강보험공단에 장기요양 인정 신청
  2. 간호사 등 전문 인력이 방문조사
  3. 30일 이내 등급 판정 → 등급 1~5 / 인지지원등급
  4. 이후 요양서비스 시작 가능

 

반응형